728x90
반응형
[치유1] 치유농업, 상처를 치유하고 마음건강을 지킨다.
치유농업의 개념
- 치유농업의 정의: 유럽 등 국외에서 치유농업은 다양한 용어로 불리며, care farming, social farming, green care farming, farming for health 등이 있다. 이는 본질적으로 치유를 제공하기 위한 농업의 활용을 의미한다.
- 목적: 국민의 건강 회복, 유지, 증진을 위해 농업 및 농촌 자원과 관련된 활동을 통해 사회적 또는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이다.
- 활용 분야: 치유농업은 단순한 농업 활동을 넘어, 정신 건강과 사회적 치유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 사회적 가치: 치유농업은 사회적 연대감을 증진시키고, 정신적 안정을 도모하는 데 기여한다.
치유와 힐링의 차이
- 힐링의 의미: 최근 ‘치유’와 함께 사용되는 ‘힐링(Healing)’은 사전적으로 치료로 해석되지만, 현재의 트렌드에서는 한국어로 치유에 가깝다.
- 치료와 치유의 차이:
- 치료: 상처나 증상을 다스리는 행위로, 의료기술이 동원된 의학의 영역이다.
- 치유: 치료를 통해 상처가 나아가는 과정을 의미하며, 상처 회복 과정에 관여하는 요법 등을 포함한다.
- 치유농업의 역할: 치유농업은 농업 및 농촌 자원을 활용하여 국민의 신체, 정서, 심리, 인지, 사회 등의 건강을 도모하는 활동이다.
치유농업의 범위와 목적
- 범위: 치유농업은 채소와 꽃 등 식물뿐만 아니라, 가축 기르기, 산림과 농촌문화자원을 이용하는 경우까지 포함된다.
- 목적: 더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는 사람들과 의료적, 사회적으로 치료가 필요한 사람들을 치유하는 것이다.
- 농사와의 차이점: 일반 농사와의 가장 큰 차이점은 농사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건강 회복을 위한 수단으로 농업을 활용한다는 것이다.
- 체계화된 프로그램: 치유농업은 체계화된 프로그램 하에서 농사일을 치유의 수단으로 이용하며, 건강 및 돌봄 서비스 등을 포함한다.
치유농장의 역할
- 치유농장의 정의: 치유농장은 치유와 농업을 연결하는 장소로, 도움과 치유가 필요한 사람들에게 건강한 하루 일과를 제공하는 농업회사이다.
- 농장의 종류: 치유농장은 작물 농장, 원예 농장, 돼지 또는 낙농업 농장, 과일 재배 농장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 참여자 지원: 치유농장은 참여자를 위한 탁아시설을 제공하며, 장애나 제약을 가진 아이들을 위한 탁아시설도 운영한다.
- 사회적 부대시설: 농장은 사회적 부대시설과 노동 훈련을 제공하며, 참가자들은 농장에서 자신의 미래를 반영하고 회복을 위해 노력할 수 있다.
치유농업의 역사
- 농업과 치유의 관계: 인류는 농업과 함께 존재해 왔으며, 자연이나 농업을 이용해 건강을 회복해온 역사는 길다.
- 정착 생활의 시작: 인류의 조상들이 정착 생활을 시작하면서 주변에 식량이 될 식물과 과일나무를 심었고, 정원이 주는 정신적 안정감을 느꼈다.
- 전문화의 시작: 1950년대 이후 장애인의 사회 복귀와 작업요법의 활용으로 치유농업이 전문화되기 시작하였다.
- 캠프힐 운동: 아일랜드와 영국에서 캠프힐 운동의 영향을 통해 치유 목적의 공동체가 인기를 끌었으며, 장애인을 위한 원예치료 프로젝트가 운영되었다.
국가별 치유농업 사례
- 영국의 치유농업: 빅토리아 시대의 요양원에서는 부속농장이나 정원을 두어 농산물을 생산하고, 농사와 정원 가꾸기가 환자의 정신·신체 재활에 도움을 주었다.
- 정책 및 전략: 영국은 치유농업 계획 수립과 지역연계 체제 구축을 위한 정책 및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 치유농업 계획: 국가 치유농업계획을 수립하여 치유농업 개념 정립, 서비스 대상 설정, 홍보 및 지원 방안을 도출하고 있다.
- 지역연계 체제: 지역적으로 치유농장 그룹을 형성하도록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성공적인 운영 사례를 공유하고 있다.
미국과 네덜란드의 발전
- 벤자민 러쉬의 연구: 현대 정신의학 및 작업치료의 권위자였던 ‘벤자민 러쉬’는 1812년 자신의 저서에서 원예활동이 정신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연구 결과를 언급하였다.
- 네덜란드의 치유농장: 1990년대 후반부터 치유농장이 출현하였고, 국가의 지원으로 수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 농장주와 이용자: 농장주는 이용자와 다양한 보험 계약을 체결하여 치유농장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품질 관리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 정책 변화: 2007년 사회지원법 시행으로 치유농업이 돌봄 서비스 제공자로서 부각되었다.
한국의 치유농업 현황
- 자연과 위안: 우리 선조들은 자연을 중시하고 채소를 가꾸거나 꽃을 키우면서 위안을 찾았다는 기록이 존재한다.
- 치유농업의 필요성: 저출생, 고령화, 농촌 소멸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치유농업은 힘들고 지친 국민들에게 새로운 복지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 사회적 효과: 치유농업의 긍정적인 영향은 농민과 참여자뿐만 아니라 지역 사회에도 포함된다.
- 법과 정책: 선진 농업국들은 치유농업의 개념을 정립하고 다양한 지원 법과 정책을 시행하여 농업의 주요 산업 분야로 자리 잡고 있다.
[치유1] 치유농업, 상처를 치유하고 마음건강을 지킨다. | 더뉴스메디칼
728x90
반응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반정보1] 러브버그는 익충인가? (0) | 2024.11.01 |
---|---|
[의료제도9] 약가협상제도 알아보기 (6) | 2024.11.01 |
[의료제도8] 약제급여평가위원회 (2) | 2024.11.01 |
[의료제도7] 의약품 선별등재제도 알아보기 (0) | 2024.11.01 |
[일반제도4] 농지취득자격증명제도(농취증) 알아보기 (3) | 2024.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