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약뉴스사설칼럼

2024년 한방의료 이용 실태조사… 국민 67.3% "한방의료 경험 있다"

728x90
반응형

 

2024년 한방의료 이용 실태조사… 국민 67.3% "한방의료 경험 있다"

질환 치료 목적 93.9%로 최다… 만족도 꾸준히 상승

한방의료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여전히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24년 한방의료이용 실태조사 결과, 성인 10명 중 7명(67.3%)이 한방의료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2년(71.0%) 대비 다소 감소한 수치지만, 한방의료 만족도는 매년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방의료 이용 목적 중 질환 치료가 93.9%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한방치료를 선택한 이유로는 치료 효과가 좋아서(42.5%)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질환에 특화된 진료를 제공하기 때문(16.0%), 부작용이 적어서(11.6%)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여성과 고령층에서 한방의료 이용률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60세 이상에서는 86.6%가 한방의료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19~29세 연령대에서는 31.1%로 비교적 낮은 이용률을 보였다.

한방의료 이용 만족도 상승… 외래환자 86.3% "만족"

한방의료에 대한 국민들의 만족도는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 일반 국민의 한방의료 만족도는 79.5%로, 2022년(76.6%) 대비 증가했다. 특히 한의원을 방문하는 외래환자의 경우 만족도가 86.3%에 달해, 한방 의료기관을 직접 이용하는 사람이 더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만족도가 높은 이유로는 의료진의 친절한 태도, 시설 환경, 치료 결과 등이 꼽혔다. 반면, 진료비 부담은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이는 항목이었다.

한방의료 비용 부담 완화… "비싸다"는 응답 줄어

한방의료 이용 비용에 대한 인식도 변화하고 있다. 외래환자 중 한방치료가 비싸다고 응답한 비율은 2022년 31.2%에서 2024년 21.5%로 감소했으며, 입원환자의 경우 같은 기간 49.0%에서 33.6%로 크게 줄었다.

다만, 첩약과 한약제제에 대한 가격 부담은 여전히 높은 편이었다. 이에 따라 국민 대다수는 한방 치료에 대한 건강보험 급여 적용 확대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한 협진 요구 증가… "동일 증상으로 의·한방 이용" 50.1%

이번 조사에서는 의·한방 협진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외래환자의 절반(50.1%)이 동일한 증상으로 의·한방 의료기관을 모두 방문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으며, 입원환자도 43.0%가 같은 경험이 있다고 밝혔다.

또한, 한방의료 이용자들은 의과와의 협진 활성화를 가장 필요한 개선 사항으로 꼽았으며, 일반 국민은 한약재의 안전성 확보를 중요한 과제로 지적했다.

보건복지부, 한의약 정책 강화…"보험급여 확대 추진"

보건복지부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제5차 한의약 육성발전 종합계획(2026~2030)을 수립할 예정이다. 또한 한방 치료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첩약 건강보험 적용 시범사업을 2024년 4월부터 2026년 12월까지 운영하며, 의·한 협진 시범사업도 5단계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정부는 앞으로도 한의약 건강보험 적용 범위를 확대하고, 한방 의료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