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료건강뉴스사설칼럼

베트남 홍역 급증, 한국인 여행객 주의 필요

728x90
반응형

베트남 홍역 급증, 한국인 여행객 주의 필요

최대 방문국 베트남에서 홍역 사망자 발생, 해외여행 전 예방접종 필수

베트남에서 홍역 환자가 급증하면서 최다 방문국으로 꼽히는 한국인 여행객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정부는 해외여행 전 예방접종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베트남 홍역 확산 심각, 석 달간 사망자 지난해 전체와 동일

베트남 현지 매체들에 따르면 올해 베트남 내 홍역 의심 환자는 약 4만 명에 달하며, 이 중 5명이 사망한 것으로 보고됐다. 베트남 보건부는 약 석 달간의 사망자 수가 지난해 한 해 동안의 사망자 수와 같다며 홍역 경보를 발령했다.

감염 환자의 연령대를 살펴보면 72.7%는 9개월에서 15세 미만이었고, 9개월 미만 영아가 15.3%를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베트남 최대 도시 호찌민을 포함한 남부 지역이 57%로 가장 많았으며, 중부(19.2%), 북부(15.1%), 중부고원 지방(8.7%)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 세계적 홍역 유행, 낮은 예방접종률이 원인

세계보건기구(WHO)는 2024년 이후 예방접종률이 80% 이하로 낮아져 홍역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전 세계 홍역 환자는 약 31만 명으로 집계됐으며, 유럽이 10만 명, 중동이 9만 명, 동남아시아 지역에서는 3만 명 이상의 환자가 발생했다.

팜 민 찐 베트남 총리는 홍역 예방접종을 확대해 이달 말까지 완료하라고 긴급 지시했다. 또한 홍역 환자가 전국적으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각 지역에 면밀한 상황 관찰과 철저한 대비를 지시했다.

베트남 당국은 특히 소수민족이 거주하는 산간 지방 등 의료 서비스 접근성이 떨어지고 백신 접종률이 낮은 지역이 취약하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국내 홍역 환자 대부분 베트남 여행 관련, 높은 감염력 주의

홍역은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공기로 전파되며, 감염 시 발열과 전신 발진, 구강 내 병변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3월 6일까지 발생한 국내 홍역 환자 18명 중 13명은 베트남을 다녀온 것으로 확인됐다. 나머지 5명은 국내에서 환자와 접촉하면서 확진 판정을 받았다.

질병관리청은 "홍역은 감염력이 높아 면역이 없는 사람들이 환자와 접촉하면 90% 가까이 감염될 정도"라며 "해외여행 전 꼭 예방접종을 하고 여행 후 발열·발진 증상이 있으면 홍역을 의심하라"고 당부했다. 홍역은 백신 1차 접종 시 93%, 2차 접종 시 97% 예방할 수 있다.

지난해 베트남을 찾은 외국인 방문객은 약 1,760만 명이었으며, 이 중 한국인이 약 457만 명으로 가장 많았다. 베트남은 2022년 3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국경을 재개방하면서 한국이 중국을 제치고 최대 방문국으로 부상했다.

예방접종 강화 및 조기 발견이 중요

우리나라는 2014년 WHO로부터 홍역 퇴치 인증국가로 지정됐으며, 어린이 홍역 예방접종률(MMR 1차 93%, 2차 97%)이 높은 상황이다. 그러나 접종 시기가 도래하지 않은 생후 12개월 미만 영아나 홍역에 대한 면역력이 없거나 저하된 사람을 중심으로 유행이 확산할 가능성이 있다.

베트남, 필리핀 등 홍역 유행 국가 여행 전에는 홍역 예방백신(MMR) 접종력을 확인하고, 2회 접종을 완료하지 않았거나 접종 여부가 불확실한 경우 출국 4~6주 전 2회 접종(최소 4주 간격)을 완료해야 한다.

특히 1세 미만 영유아(6개월~11개월)가 불가피하게 홍역 유행 국가를 방문해야 한다면 홍역 가속 백신접종을 받을 것을 권고하고 있다.

반응형

나비꽃방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