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료건강뉴스사설칼럼

감 과다 섭취로 장폐색 진단받다?

728x90
반응형

감 과다 섭취로 장폐색 진단받다?

떫은 감의 탄닌 성분이 만든 위험한 결과 - 장폐색 수술 후 회복

감 과다 섭취로 인한 장폐색 사례 발생

얼마전 베트남의 한 50대 여성이 감을 과다하게 섭취한 후 장폐색 진단을 받은 사례가 화재가 됐다.

59세 여성 A씨는 갑작스러운 복부 가스 팽만과 통증을 호소했다. 이후 체온 상승, 오심, 구토 증상까지 나타나 병원을 방문했다.

검사 결과 A씨는 음식물 찌꺼기로 인한 '장폐색증'으로 진단됐다. 장폐색증은 소장이나 대장이 여러 요인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막혀 장 내용물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담당 의사는 "A씨가 3일 전 과다하게 섭취한 감이 원인"이라며 "감, 무화과, 죽순 등 섬유질과 탄닌이 많은 식품을 먹으면 음식 속 섬유질과 탄닌이 위산과 엉겨 붙어 음식물 찌꺼기가 되고, 이로 인해 장이 막힌 것"이라고 설명했다. A씨는 막힌 부분을 뚫는 수술을 받은 후 6일 만에 퇴원했다.

장폐색의 원인과 증상 - 가스, 배변, 찌꺼기 축적으로 복통 및 구토 유발

장폐색증은 장의 운동기능이 마비되거나 이물질에 의해 막혀 발생한다. 이 상태에서는 가스, 배변, 음식물 찌꺼기 등이 장내에 축적되어 복통, 복부팽만, 오심,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특히 떫은맛을 내는 탄닌 성분은 소화기관에서 위산 및 소화 단백질과 엉겨 붙어 음식물 찌꺼기를 형성한다. 탄닌이 함유된 대표적인 식품으로는 감, 밤, 도토리, 차, 석류 등이 있다.

장이 막히면 음식물, 소화액, 대변 등이 내려가지 못하고 고여 있다가 복통을 유발한다. 이때 극심한 복통과 함께 배가 팽창하고 구토, 오한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장의 내용물은 통과하지 못하고 소량의 물만 이동해 대변을 보지 못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수분과 전해질 흡수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혈액량이 감소한다. 이로 인해 저혈압이나 탈수로 인한 쇼크에 빠질 위험도 있으며, 심한 경우 장 천공이 발생할 수 있다.

중국에서도 유사한 사례 발생 - 감과 털게 섭취 후 장폐색 진단

유사한 사례는 중국에서도 보고됐다. 지난 15일, 중국의 40대 여성 B씨는 감 세 개와 털게 두 마리를 연달아 섭취한 후 급성 장폐색 진단을 받았다.

B씨는 밤부터 복통이 시작됐고 증상이 점점 심해져 이틀 후 병원을 방문했다. 검사 결과 그의 소장에는 가로 4cm, 세로 3cm 크기의 결석이 생겨 음식물이 정상적으로 통과하지 못하는 상태였다. 의료진은 B씨의 소장을 일부 절제했으며, 결석 생성 원인으로 그가 섭취한 음식을 지목했다.

장폐색의 유형과 치료 방법 - 기계적 폐색과 기능적 폐색

장폐색증은 크게 기계적 폐색과 기능적 폐색으로 나뉜다. 기계적 폐색은 장이 물리적으로 막혀 발생하는 경우이며, 기능적 폐색은 장운동 기능이 저하되어 나타나는 경우다.

기능적 폐색처럼 장이 심하게 막힌 상태가 아니라면, 천천히 걷기 등 가벼운 운동과 함께 장운동을 촉진하는 약물로 치료한다. 그래도 증상이 완화되지 않거나 기계적 폐색일 경우, 막힌 장 부위를 뚫는 수술을 시행한다. 종양 등 장질환이 원인이라면 이를 우선적으로 치료해야 한다.

감의 탄닌 성분과 위산, 섬유질이 만드는 위험성 - 위 수술 환자에게 특히 위험

감의 탄닌 성분은 위산 및 섬유질과 결합하여 '단단한 돌'을 형성할 수 있어 특히 위험하다. 이는 위 수술을 받은 환자에게 더욱 위험할 수 있다.

"위절제 수술을 받은 환자는 남아있는 위의 기능 저하로 음식물 배출 지연이 흔한데, 이때 감의 탄닌 성분이 위산과 음식의 섬유질과 합쳐져 단단한 돌이 잘 생긴다"고 전문가들은 경고한다.

감은 위수술 환자에게 절대적인 금기 식품은 아니지만, 섭취 시 소량으로 제한해야 하며 특정 부위는 피하는 것이 좋다. "위수술을 받은 환자들은 가급적 감은 섭취하지 않거나 먹더라도 한 번에 조금씩 먹고, 탄닌 성분이 많은 떫은 맛이 나는 가운데 부분과 씨 주위 부분은 먹지 않는 게 좋다"고 의료진은 조언한다.

위 수술 후 식이 관리의 중요성 - 덤핑증후군 예방을 위한 식습관

위 수술 후에는 음식 섭취에 주의할 점이 많다. "수술 후 초기에는 소량씩 천천히 식사를 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며 "소화가 잘 안 되는 음식들, 특히 섬유질이 많은 음식은 잘게 썰어 많이 씹어서 먹어야 하고, 수술 후 초기에는 회복기이기 때문에 양질의 단백질을 많이 섭취하는 게 중요하다"고 의료진은 강조한다.

위 수술 후 흔히 발생하는 합병증 중 하나는 덤핑증후군이다. "위의 크기가 작아지고, 위 배출을 조절하는 괄약근이 없어짐에 따라 당도가 높은 음식물이 소장으로 급격하게 유입된다"며 "이 때문에 식은땀이 나거나 어지럽고, 복통, 설사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덤핑증후군이라고 한다"고 의료진은 설명한다.

"덤핑증후군은 수술 후 1~2년이 경과하면 많이 호전되지만 상당한 시간이 경과한 뒤에도 나타날 수 있다"며 "덤핑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서 소량씩 자주 천천히 식사하고, 고단백, 적절한 지방, 저탄수화물 섭취가 도움된다"고 의료계는 조언한다.

위 수술 후 1~2달 정도는 빠르게 소장으로 과도한 당도가 들어가는 상황을 피해야 하므로, 설탕이나 아이스크림 등 단순당의 과다 섭취는 이 시기에 피하는 것이 좋다.

"식사 후에 바로 움직이지 말고 20~30분 정도 쉬는 것이 좋다"며 "음식물이 내려가는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는 식사 중 국물이나 물 섭취는 가능한 피하고, 음료의 경우 식후 30분 정도 지나서 섭취하는 것이 좋다"고 전문가들은 권고한다.

한편, 많은 위 환자들이 수술 후 영원히 정상적인 식사가 불가능할 것으로 우려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보통 수술 후 3주까지는 죽 위주의 부드러운 식사를 할 것을 권하고, 대부분의 환자들은 3주 이상 지나면 원래 먹던 식사를 섭취할 수 있으나 식사량은 매우 천천히 늘어난다"면서도 "개인차는 있으나 1~2달 정도면 수술 전 식사량과 비슷해진다"고 의료진은 설명한다.

반응형

장폐색 오게 한 과일의 정체는? | 더뉴스메디칼

 

장폐색 오게 한 과일의 정체는? | 더뉴스메디칼

장폐색 오게 한 과일의 정체, 감의 탄닌 성분이 위산과 결합해 심각한 건강 문제 초래. 베트남 여성 A(59)씨는 갑작스러운 복부 가스 팽만과 통증을 호소했다. 체온 상승과 함께 오심, 구토 증상을

thenewsmedical.co.kr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