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병원장협, 필수의료 패키지 정책 “의료계와 진지한 논의 필요”
병원장협의회의 성명 발표
- 대한병원장협의회는 2024년 2월 7일 성명을 발표하였다.
- 성명에서 정부의 필수의료 패키지 정책과 의대 정원 증원 계획에 대해 강한 반발을 표명하였다.
- 정부는 의료계와 진지한 논의를 통해 정책 방향성을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 이 성명은 의료계의 의견을 반영하지 않은 정책 추진의 위험성을 강조하는 내용이다.

정책의 역사적 사례 언급
- 병원장협은 18세기 프랑스의 우유 가격 강제 인하와 19세기 조선의 당백전 발행을 언급하였다.
- 이러한 정책들은 선의로 시작되었으나 예상치 못한 악영향을 초래한 역사적 사례로 제시되었다.
- 정부 정책의 위험성을 경고하며, 과거의 사례를 통해 현재의 정책이 가져올 수 있는 부작용을 강조하였다.

의사 증원에 대한 반대 의견
- 병원장협은 지난 정권의 임금 인상 정책과 비교하여 의사 증원이 필수의료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
- 의사 부족이 지역 의료 격차의 주요 원인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 의사 증원이 실제로 의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였다.
비급여 혼합진료 금지 비판
- 병원장협은 비급여 혼합진료 금지 정책에 대해 비판하였다.
- 이 정책은 비급여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한 자들에 의해 추진된 폭거라고 주장하였다.
- 의사들의 진료권을 박탈하는 것과 다름없다고 강조하였다.
전문가 의견 수렴의 중요성
- 병원장협은 의료 전문가 집단으로서 정부 정책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을 요구하였다.
- 정보의 비대칭성이 지배하는 의료 분야에서 전문가 집단의 의견을 수렴하지 않고 정책을 추진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강조하였다.
- 전문가의 의견이 정책 결정에 반영되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하였다.

정부 정책에 대한 재검토 촉구
- 병원장협은 정부가 현재 내놓은 정책이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통렬히 반성할 것을 촉구하였다.
- 의료계와 진지한 논의를 통해 정책 방향성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 정책의 결과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과 논의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과거 정책의 교훈
- 18세기말 프랑스에서는 우유 가격을 강제로 내리는 정책이 시행되었다.
- 19세기 조선에서는 당백전 발행을 통해 재정 조달을 시도하였다.
- 이러한 정책들은 선의로 시작되었으나 결과적으로 부작용을 초래한 사례로 언급되었다.
의사 증원과 의료 격차
- 병원장협은 의사 증원이 필수의료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는 주장을 반박하였다.
- 지역 의료 격차가 의사 부족 때문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 과거의 정책들이 경제에 미친 영향을 언급하며, 단순한 해결책이 아니라는 점을 지적하였다.
비급여 혼합진료 금지의 문제점
- 비급여 혼합진료 금지는 비급여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는 자들에 의해 자행된 폭거라고 주장하였다.
- 이 정책은 의사들의 진료권을 박탈하는 것과 다름없다고 강조하였다.
- 정의와 대의라는 이름으로 자행된 정책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전문가 집단의 역할 강조
- 의사, 변호사, 회계사 등 전문가 집단의 지적 권위는 사회를 바로잡는 길라잡이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 전문가 집단이 정책 결정 과정에 참여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 비전문가의 마타도어에 대항하여 사회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한병원장협의회, 7일 정부 필수의료 패키지 정책에 강한 우려 표명 | 더뉴스메디칼
대한병원장협의회, 7일 정부 필수의료 패키지 정책에 강한 우려 표명 | 더뉴스메디칼
대한병원장협의회(회장 이상운, 이하 병원장협)는 7일 성명을 통해 정부의 필수의료 패키지 정책과 의대 정원 증원 계획에 강한 반발을 표하며, 정부가 의료계와 진지한 논의를 통해 정책 방향
thenewsmedical.co.kr
728x90
반응형
'의약뉴스사설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건복지부, 14일 필수의료 강화 위한 국립대학병원 혁신 협의체서 방안 논의 (0) | 2024.10.30 |
---|---|
일방적 비대면 진료 확대 안돼! 의협, 약사회 14일 긴급 간담회 (2) | 2024.10.30 |
600만명 당뇨병 환자 체중 관리, 암과 합병증 발생 위험 감소 (1) | 2024.10.30 |
정부, 1일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보완방안 발표 (2) | 2024.10.30 |
의협‧약사회, 11/30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광고 업체 공동 고발 (6) | 2024.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