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약뉴스사설칼럼

폐업 의료기관 진료기록, 온라인으로 안전하게 보관한다

반응형

폐업 의료기관 진료기록, 온라인으로 안전하게 보관한다

[더뉴스메디칼 | 전해연 기자]

의료기관 진료기록 전자화 시범운영

시범운영 시작일: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의료정보원은 2023년 11월 27일부터 전국 12개 보건소에서 휴폐업 의료기관 진료기록보관시스템의 시범운영을 시작한다고 발표하였다.

목적: 이 시스템은 휴업 및 폐업 의료기관의 진료기록을 전자적으로 이관하여 통합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기대 효과:

  • 환자들의 진료기록 발급 불편을 개선할 수 있다.
  • 정보 유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보건소의 관리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의료정보원은 2023년 11월 27일부터 전국 12개 보건소에서 휴폐업 의료기관 진료기록보관시스템의 시범운영을 시작한다고 발표하였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의료정보원은 2023년 11월 27일부터 전국 12개 보건소에서 휴폐업 의료기관 진료기록보관시스템의 시범운영을 시작한다고 발표하였다

진료기록 관리의 필요성

현재 상황: 의료기관이 폐업할 경우, 진료기록은 보건소로 이관되거나 의료기관 개설자가 직접 보관하게 된다.

문제점:

  • 개설자와의 연락이 끊기거나 관리 소홀로 인해 환자가 기록을 발급받지 못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 진료기록 유출 사고도 발생하고 있어,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 구축이 시급한 상황이다.

진료기록 유출 문제와 법적 근거

법적 근거 마련: 2020년 의료법 개정으로 진료기록을 전자적으로 이관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필요성: 진료기록의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환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의료기관의 책임을 명확히 할 수 있다.

2020년 의료법 개정으로 진료기록을 전자적으로 이관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시범사업의 구체적 진행 계획

시범운영 보건소: 이번 시범운영은 서울 마포구 등 수도권 5곳, 비수도권 3곳, 의료취약지 4곳을 포함한 총 12개 보건소에서 진행된다.

주요 소프트웨어: 두 개의 주요 전자의무기록 소프트웨어(EMR)인 비트U차트와 의사랑을 사용하는 의료기관의 진료기록이 전자적으로 이관되는 절차가 검증된다.

목표: 이관 과정의 업무 절차를 구체화하고, 본격적인 시스템 운영에 앞서 개선점을 도출할 예정이다.

2025년 하반기 시스템 운영 기대

정식 운영 시작: 2025년 하반기부터 시스템이 정식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시스템 확장:

  • 전자의무기록 소프트웨어가 현재 2종에서 7종으로 늘어난다.
  • 환자들은 진료기록, 진단서, 처방전 등 17종의 의무기록을 온라인으로 발급받을 수 있게 된다.
  • 자동 연계: 전체 의원급 의료기관의 약 88%가 시스템과 자동 연계될 예정이다.

환자들은 진료기록, 진단서, 처방전 등 17종의 의무기록을 온라인으로 발급받을 수 있게 된다.

환자와 보건소의 이점

시스템 완성도: 염민섭 한국보건의료정보원장은 이번 시범사업이 시스템의 완성도를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국민의 편의성: 고형우 첨단의료지원관은 의료기관 폐업 이후에도 국민들이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진료기록을 조회하고 발급받을 수 있어 불편함이 크게 해소될 것이라고 밝혔다.

염민섭 한국보건의료정보원장은 이번 시범사업이 시스템의 완성도를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공공의료의 질 향상

보건소의 관리 부담 경감: 보건소는 기존에 출력물과 USB 등으로 보관하던 진료기록을 전자적으로 관리함으로써 방대한 자료를 수기로 관리해야 했던 부담을 덜게 된다.

혁신적 변화: 이는 국민 편의성과 공공의료의 질을 모두 높이는 중요한 혁신으로 평가받고 있다.

반응형

쉼터꽃방
쉼터꽃방

이 기사도 봐보세요

폐업 의료기관 진료기록, 온라인으로 안전하게 보관한다 | 더뉴스메디칼

2025.05.26 - [정보] - 주민등록등본 온라인 발급부터 초본과의 차이까지, 한 번에 해결하는 완전 정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