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약뉴스사설칼럼

1일 여야의정 협의체 좌초, 의료공백 해소의 마지막 희망 사라지나

반응형

1일 여야의정 협의체 좌초, 의료공백 해소의 마지막 희망 사라지나

[더뉴스메디칼 | 전해연 기자] 2024-12-01

여야의정 협의체의 출범과 좌초

의대 정원 증원 논의: 여야의정 협의체는 의료계와 정부 간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출범하였으나, 시작부터 난항을 겪었다.

협의체의 목표: 의료 개혁과 의료계와 정부 간의 갈등 해소를 목표로 하였으나, 합의 대신 갈등만 키웠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협의체의 활동 중단: 협의체는 출범 한 달 만에 활동을 중단하였으며, 이는 의대 정원 문제가 주요 쟁점으로 작용하였다.

국민의힘의 입장: 국민의힘 대표 이만희 의원은 “2025학년도 의대 정원 변경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발표하였다.

여야의정 협의체의 출범과 좌초

협의체의 주요 쟁점

2025학년도 의과대학 정원 증원 문제: 협의체의 가장 큰 쟁점은 의대 정원 증원 문제였다.

입장 차이: 정부와 의료계 간의 입장 차가 좁혀지지 않으면서 대화의 문이 닫히게 되었다.

의료계의 요구: 의료계는 정부와 여당이 진정성 있는 태도를 보이지 않았다고 강하게 반발하였다.

협의체 참여 중단: 대한의학회와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는 협의체 참여를 중단하겠다고 선언하였다.

대한의학회와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는 협의체 참여를 중단하겠다고 선언하였다.

의료계의 반발과 협의체 중단

의료계의 강한 반발: 의료계는 정부의 태도에 대해 강하게 반발하며, 정부의 문제 해결 의지를 의심하였다.

대한의학회의 입장: 이진우 대한의학회장은 “의료계는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대안을 수차례 제시했지만 정부는 전혀 응답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협의체의 중단 이유: 협의체는 주요 참가자들 간의 입장 차만 재확인한 채 종료되었다.

의료계의 요구: 의료계는 정부와 여당이 진정성 있는 대화를 하지 않았다고 주장하였다.

의료계는 정부와 여당이 진정성 있는 대화를 하지 않았다고 주장하였다.

반쪽 협의체의 비판

협의체의 출범: 여야의정 협의체는 국민의힘 주도로 지난 11월 11일 출범하였다.

협의체의 비판: 더불어민주당과 대한의사협회(의협)가 협의체 참여를 거부하며 ‘반쪽 협의체’라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국민의힘의 주장: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는 “국민의 생명과 건강보다 시급한 민생은 없다”고 강조하였다.

의협의 비판: 의협은 정부가 의료계와의 신뢰 회복을 위한 구체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비판하였다.

정부와 의료계의 대립

정부의 입장: 정부는 2025학년도 의대 정원 증원을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반복하였다.

이주호 부총리의 발언: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수험생과 교육 현장에 혼란을 초래할 조치는 취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의료계의 주장: 의료계는 입시 일정보다 의료 현실이 더 시급한 문제라고 강조하였다.

의학회와 KAMC의 제안: 대한의학회와 KAMC는 정원 조정 방안을 충분히 검토해 구체적인 제안을 전달했음에도 정부는 아무런 태도 변화도 보이지 않았다고 불만을 표출하였다.

정부는 2025학년도 의대 정원 증원을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반복하였다.

의료계의 강경 대응 예고

의협 비대위의 요구: 의협 비대위는 2025학년도 의대 모집을 전면 중단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협의체 탈퇴 요청: 의협 비대위는 의학회와 KAMC에 협의체 탈퇴를 공식 요청하며 협의체 무용론을 제기하였다.

모집 정지 주장: 의협 비대위는 단순히 정원 동결을 넘어 ‘모집 정지’를 주장하고 있다.

의료계 내부의 비판: 의료계 내부에서는 협의체 참여가 정부와 여당의 알리바이로 활용되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갈등의 장기화와 대화의 필요성

협의체 중단의 영향: 여야의정 협의체가 사실상 실패로 끝나면서 의료계와 정부 간 갈등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커졌다.

의료 개혁 논의에 미치는 영향: 협의체가 마지막 대화 창구로 여겨졌던 만큼, 이번 중단은 의료 개혁 논의에 큰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대화 의지: 정부는 협의체 중단 이후에도 의료계와 지속적으로 대화할 의지를 표명하였으나, 의료계의 반응은 차갑다.

의료계의 입장: 의료계는 “정부와 여당의 태도 변화 없이는 추가 대화는 무의미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반응형

쉼터꽃방
쉼터꽃방

이 기사도 봐보세요

1일 여야의정 협의체 좌초, 의료공백 해소의 마지막 희망 사라지나 | 더뉴스메디칼

2025.04.21 - [의료건강뉴스사설칼럼] - 갱년기 호르몬 불균형, 방치하면? 호르몬 치료, 득일까 독일까?

반응형